본문 바로가기

제주도

가슴 아리던 날에..

 

 

면사무소 앞에서 버스를 타고

하추자도 눈물의 십자가와 

황경환 묘가 있는 예초리로 향하다.

 

 

 

 

제주에서 추자도를 출발할땐

흐리고 날씨가 안 좋더니..

추자도에 도착하기 전부터 날씨가

어찌나 좋던지 복받은 날이다.

 

 

 

 

 

예초리 종점에서 내려 마을을

지나 바다쪽으로 향하다.

 

 

 

 

추자도 하면 떠오르는

눈물의 집자가..

이곳은 정난주 마리아가

2살된 황경한을 갯바위에

두고 온 곳이다.

 

 

 

 

 

황경한은 성장하면서 부터

이곳에서 제주쪽을 바라보며

늘 어머니를  그리워하다.

그를 기리며 그 자리에

눈물의 삼자가를 세웠다 한다.

 

 

 

 

 

재현해 놓은 동상만 보아도

가슴이 아팟다.

 

 

 

 

갯바위에 놓여진

아기 황경한을 보려니 눈물이 나다.

그 당시 어미의 마음을 생각하니

어찌나 가슴이 아프던지..

 

 

 

 

추자도 몽돌해안을 지나

황경한 묘지로 향하다.

 

 

 

 

 

 

 

몽돌해안

 

 

 

 

 

 

 

 

황경한은 조선 순조 때 

천주교 박해 사건인 신유사옥시

백서를 작성한 황사영 알렉시오와

정난주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나다.

황사영은 정약용의 맏형인 정약현의

딸 정난주와 결혼하였고 1801년에 순교하다.

 

 

 

 

 

 

 

 

 

 

 

 

 

 

 

 

 

 

 

 

 

 

 

 

 

 

 

 

 

 

 

 

 

 

이런 역사적인 배경으로

제주에 처음으로 천주교가

뿌리내린 곳이 추자도가 되었다고 한다.

황경한  후손은 현재

추자도에 살고 있다고 한다.

 

'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악산 둘레길..  (58) 2024.12.30
추자도를 떠나오며..  (0) 2024.12.16
용둠벙 전망대..  (48) 2024.12.11
봉골레산 가는중에..  (51) 2024.12.09
추자도를 향하여..  (0) 2024.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