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종문화제

칡줄다리기.. 영월 칡줄다리기는 단종이 복위된 조선 19대 숙종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칡줄나가기 행렬은 동편(덕포 장사의 집)과 서편(문화예술회관 광장)에서 출발해 동강둔치로 이동하여고싸움등 장엄한 광경을 연출한다.    칡줄다리기 행렬은 동편 서편으로 나누어 길이 70m  무게 6톤에 달하는 대형 칡줄을 지역 주민과 군인들이 힘을 합쳐 행사장인 동강둔치로 향한다.    칡줄다리기는 영월의 전통 민속행사로 일제 강점기인 1934년 영월경찰서 앞에서 동강을 중심으로 동,서편으로 나눠 진행되다.     1988년 영월에서 개최된 제6회 강원도민속경연대회에서 우수상을 받으면서 단종문화제 최고의 볼거리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원형 보존과 전승 체계화를 위해 지난해 강원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지정 받았다. .. 더보기
단종 국장(國葬).. 단종은 ..조선시대 27명의 임금중에 유일하게 장례를 치르지 못한 비운의 왕이다.    어린 단종이 승하한지550년만인 2007년부터단종문화제를 통해 단종국장을해매다 재현한다.    국장재현 행사는.. 국상이 있을 때 국장도감을 설치해 국장을 치른 일체의 과정을 날짜순으로 기록한 등록을 만들었다가 후일에 참고 하기 위해 다른 자료를 추가 의궤로 정리한 영조국장도감의궤를 참고하여 행사를 진행한다.    조선 6대 임금인 단종은 12세에 왕위에 올랐다가 숙부인 수양대군(세조)에게왕위를 찬탈당하고 영월 청령포로 유배..17세에 관풍헌에서 사약을 받았다    단종 상여는 영월 시내를 지나중간에 노제를 지낸후 장릉으로  간다.         중간에 노제를 지내는 모습이다.        단종의 승하를 슬퍼하며 상주.. 더보기